FIVB 여자 배구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VB 여자 배구 월드컵은 국제 배구 연맹(FIVB)이 주관하는 여자 배구 대회로, 하계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 사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4년 주기로 개최된다. 1973년 처음 시작되었으며, 올림픽 전 해에 열려 올림픽 출전권을 부여하는 예선 대회의 성격을 갖는다. 12개 팀이 참가하며, 일본에서 주로 개최된다. 중국이 5회, 쿠바가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1973년 첫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IVB 배구 월드컵 -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FIVB 남자 배구 월드컵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 사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1965년 창설되어 초기에는 올림픽 다음 해에 개최되었고 1977년부터 일본에서 영구적으로 개최되었으며 1991년부터는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역할도 겸했으나 2019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폐지 논의 후 2022년에 재개최되었다. - 국제 배구 대회 -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배구 연맹 주관으로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여자 배구 대회로, 중국이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우승 기록은 없지만 꾸준한 성적을 내고 다양한 개인상이 수여된다. - 국제 배구 대회 - FIVB 배구 월드리그
FIVB 배구 월드리그는 국제 배구 연맹이 주관한 남자 배구 국제 대회로, 1990년 창설되어 매년 개최되었으나 2018년부터 배구 네이션스 리그로 대체되어 2017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 197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세계태권도연맹 주관의 국제 대회로, 1973년 서울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압도적인 메달 획득 수를 기록하고 있지만 최근 다른 국가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 197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호놀룰루 마라톤
호놀룰루 마라톤은 1973년 시작되어 매년 2만 5천 명 이상이 참가하는 세계 10대 마라톤 중 하나로, 알라 모아나 비치 파크에서 시작해 호놀룰루 해안가를 따라 카피올라니 공원에서 끝나는 코스에서 열리며 일본과 깊은 연관을 갖고 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된 해를 제외하고 꾸준히 개최되고 있다.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
---|---|
대회 정보 | |
종목 | 배구 |
창립 | 1973년 |
첫 대회 | 1973년 |
주관 | FIVB |
사무총장 | 아리 그라사 |
참가 팀 수 | 12개 팀 |
최다 우승 팀 | (5회 우승) |
웹사이트 |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스트리밍 | Volleyball TV (2019년부터) |
2. 역사
FIVB 여자 배구 월드컵은 4년 주기로 번갈아 개최되는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 사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창설되었다.[1] 4년에 한 번만 주요 대회가 없는 상황을 만들기 위한 목적이었다.[1] 월드컵은 세계 선수권 대회보다 참가 규모가 작아 최대 12개 팀이 참가한다.[1]
월드컵은 올림픽 다음 해에 개최될 예정이었다.[1] 1973년 여자 토너먼트가 도입되었고,[1] 원래 각 대회는 다른 개최국에서 열렸지만, 1977년부터 일본에서 영구적으로 개최되고 있다.[1]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 예선 방식 변경에 따라, 2023년 월드컵은 세 개의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중 하나로 진행된다. 8개 팀이 참가하며, 상위 2개 팀에게 파리 올림픽 출전권이 주어진다.[1]
역대 우승팀은 다음과 같다.[1]
- 소련: 1973년
- 일본: 1977년
- 중국: 1981년, 1985년, 2003년, 2015년, 2019년
- 쿠바: 1989년, 1991년, 1995년, 1999년
- 이탈리아: 2007년, 2011년
2. 1. 기원
남자 배구 월드컵은 1965년에 4년 주기로 번갈아 개최되는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 사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창설되었다.[1] 세 번째 국제 대회를 창설함으로써 4년에 한 번만 주요 대회가 없는 상황을 만들 수 있었다.[1] 월드컵은 최대 12개 팀이 참가하여 세계 선수권 대회보다 참가 규모가 작다.[1]월드컵은 올림픽 다음 해에 개최될 예정이었다.[1] 1973년에는 여자 토너먼트도 도입되었다.[1] 원래 각 대회는 다른 개최국에서 열렸지만, 1977년 대회부터 일본으로 영구 이전되었다.[1]
2. 2. 형식 변화 (1991년)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 예선 방식 변경에 따라, 2023년 월드컵은 세 개의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중 하나로 진행된다. 이번 대회에는 8개 팀이 참가하며, 상위 2개 팀에게 파리 올림픽 출전권이 주어진다.[1]2. 3. 역대 우승팀
소련이 1973년 첫 번째 대회에서 우승하였다.[1] 1977년에는 일본이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 랑핑의 활약으로 중국은 1981년과 1985년 대회에서 연속 우승하였다.[1]쿠바는 1989년 첫 우승을 시작으로 1991년, 1995년, 1999년 대회까지 연속 4회 우승을 달성하였다.[1] 2003년에는 중국이 다시 우승을 차지하였다.[1]
이탈리아는 2007년 대회에서 11전 전승을 기록하며 우승하였고, 2011년 대회에서도 연속 우승을 차지하였다.[1] 2015년과 2019년 대회에서는 중국이 다시 우승하였다.[1]
3. 대회 방식
- 대회는 일본에서 열린다.
- 각 대회에는 12개 팀이 참가한다.
- 일본은 개최국 자격으로 항상 자동 진출한다.
- 전년도 FIVB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팀에게는 자동으로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 해당 연도의 각 대륙별 선수권 대회 우승팀과 준우승팀에게 두 자리가 주어진다.
- 1999년 대회부터는 다음 올림픽에 아직 진출하지 못한 팀만 월드컵에 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해 올림픽 개최국은 참가할 수 없다. 2019년 월드컵에는 예외가 있었는데, 일본이 대회를 개최하고 2020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하기 때문이다.
- 대회는 두 단계("레그"라고 함)로 나뉜다.
- 팀은 두 풀로 나뉜다.
- 첫 번째 레그에서 각 팀은 해당 풀의 모든 다른 팀과 한 경기씩 치른다.
- 두 번째 레그에서 각 팀은 다른 풀의 모든 팀과 한 경기씩 치른다.
- 경기는 2주 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2~3일에 한 번씩 휴식일이 있다. 매일 6경기가 열린다.
- 최종 순위는 일반적인 배구 기준에 따라 계산된다. 경기 점수, 승리한 경기 수, 세트 득실률(획득한 세트 수를 잃은 세트 수로 나눈 값), 점수 득실률, 직접 대결 순이다.
- 풀에 관계없이 종합 순위 상위 2개 팀은 다음 올림픽에 진출한다.
- 토너먼트는 매우 엄격한 라인업 제한을 적용한다. 12명의 선수만 허용되며, 부상 시에도 교체는 허용되지 않는다.
4.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FIVB 여자 배구 월드컵에 1973년 첫 대회부터 2019년 대회까지 총 13번 출전했다. 1977년 대회에서 1976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멤버를 주축으로 3위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5. 역대 메달 순위
순위 | 나라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중국 | 5 | 1 | 3 | 9 |
2 | 쿠바 | 4 | 2 | 0 | 6 |
3 | 이탈리아 | 2 | 0 | 0 | 2 |
4 | 일본 | 1 | 2 | 0 | 3 |
5 | 소련 | 1 | 1 | 3 | 5 |
6 | 브라질 | 0 | 3 | 1 | 4 |
7 | 미국 | 0 | 2 | 3 | 5 |
8 | 러시아 | 0 | 1 | 1 | 2 |
9 | 세르비아 | 0 | 1 | 0 | 1 |
10 | 대한민국 | 0 | 0 | 2 | 2 |
6. 역대 최우수 선수 (MVP)
연도 | 선수 | 국적 |
---|---|---|
1973년 | 조혜정 | |
1977년 | 시라이 타카코 | |
1981년 | 쑨진팡 | |
1985년 | 랑핑 | |
1989년 | 미레야 루이스 | |
1991년 | 캐런 켐너 | |
1995년 | 미레야 루이스 | |
1999년 | 타이스마리 아궤로 | |
2003년 | 마우고르자타 글린카 | |
2007년 | 시모나 지올리 | |
2011년 | 카롤리나 코스타그란데 | |
2015년 | 주팅 | |
2019년 | 주팅 |
참조
[1]
웹사이트
Japan Unveiled As First Hosts Of Olympic Qualification Tournaments
https://www.fivb.com[...]
2022-10-16
[2]
웹사이트
FIVB Official website - Honours Women
http://www.fivb.org/[...]
[3]
웹사이트
배구 조혜정
https://news.joins.c[...]
1973-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